전체 글 (7) 썸네일형 리스트형 [한 줄메모]Linux 쉘 스크립트 정리 # vim에서 :! man [section] [target] 치면 그 target의 man page로 이동한다. 함수 같은 경우 section이 2 or 3에 많다. 혹은 커서를 함수이름에 놓고 shift + k 하면 man page로 가진다. 1) man1 - Shell Utilities and User commands => 사용자 명령(쉘 명령)이 들어있다. 2) man2 - Systems Calls => 리눅스 프로그래밍을 위한 시스템 호출과 관련된 내용이 들어있다. 3) man3 - library functions => 리눅스 라이브러리 함수와 관련된 내용이 들어있다. 4) man4 - Devices and Devices Drivers => 관련 장치나 장치 드라이버, 특수파일(FIFO, 소켓 등.. [C 언어] 매크로에 do {...} while(0)을 사용하는 이유 가끔식 코드를 보면 아래와 같이 매크로에 do {..} while(0) 문을 쓰는 것을 볼 수 있다. #define TEST() \ do { \ \ \ } while (0) 이렇게 코드를 만들어주는 이유는 아래와 같다. 1. 지역 변수를 선언할 수 있는 scope를 만들어준다. #define TEST() \ do { \ int i = 0; \ } while (0) 하지만 굳이 do {...} while(0) 문이 아니고 그냥 중괄호를 사용해도 지역변수를 선언할 수 있다. #define TEST() \ { \ int i = 0; \ } while (0) 그렇다면, "do {...} while (0) 문 대신 그냥 중괄호를 사용하여 지역변수를 할당할 수 있도록 하면되는 것 아닌가?" 라는 의문이 든다. 하지.. [한 줄메모] C언어 # 리터럴이라는 공간이 있는데, 메모리 코드 세그먼트에 속하며 read only인 공간이다. (사실 코드 세그먼트 자체가 read only이다) 리터럴이란 소스코드상 고정된 값이라는 뜻이며, 아래와 같이 큰 따옴표로 묶인 문자열도 리터럴의 종류이며 스트링 리터럴이라고 한다. 자세한 사항은 아래 링크를 가면 된다. const char *str = "hello"; modoocode.com/33 씹어먹는 C 언어 - modoocode.com 이전 1 2 3 다음